Investing
앞서가는 전략가, 투자자를 위한 필수 정보를 모았습니다.
더밀크가 엄선한 상장/비상장 기업 스토리, 데이터를 담은 분석 기사와 리포트가 현명한 투자를 도와 드립니다.
앞서가는 전략가, 투자자를 위한 필수 정보를 모았습니다.
더밀크가 엄선한 상장/비상장 기업 스토리, 데이터를 담은 분석 기사와 리포트가 현명한 투자를 도와 드립니다.
높아지는 물가, 낮아지는 성장...그리고 차갑게 식어가는 고용시장까지. 미국 경제가 결국 '스태그플레이션' 국면으로 진입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전방위로 글로벌 경제를 압박하는 가운데 미국 경제가 다시 한 번 예기치 못한 경고음을 발산했다. 4월의 마지막 거래일인 30일(현지시각) 발표된 주요 경제 데이터는 미국의 경제가 차갑게 식고 있는 동시에 물가는 여전히 뜨겁게 타오르고 있음을 시사, 사실상 '스태그플레이션'의 초기 국면에 진입했음을 시사했다.
크리스 정 2025.04.30 09:06 PDT
뉴욕증시가 경제지표 약화 신호에도 불구하고 강한 반등세를 유지했다. S&P500 지수는 최근 6일간 약 8%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2022년 3월 이후 최대 상승폭을 나타냈으며, 나스닥100 지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공세 발표 이후 손실을 거의 회복했다.투자자들은 부진한 소비자신뢰지수와 노동시장 데이터를 넘어 낙관적 전망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는 미국 기업들이 경제성장 둔화와 관세 압박에도 견고한 실적을 유지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반영한다는 분석이다. 연방준비제도(Fed)가 경기침체 방지를 위해 금리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도 투자심리를 지지하고 있다.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 완화를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할 예정이라는 소식 역시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그럼에도 기업들은 관세로 인해 전망이 불투명해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GM과 젯블루는 연간 실적 가이던스를 철회했고, UPS는 올해 2만 명 감원과 수십 개 시설 폐쇄를 예고했다.HSBC는 관세와 예상보다 약한 미국 경제성장이 기업 실적에 압박을 가할 것이라며, S&P500 연말 목표치를 6700에서 5600으로 하향 조정했다. HSBC의 니콜 이누이 등 전략가들은 "관세 혼란이 진정되고, 연준이 금리인하를 시작하거나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될 때까지 시장은 경기침체와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사이에서 방향을 모색할 것"이라 전망했다.레이몬드 제임스의 래리 애덤 역시 S&P500 연말 목표치 5800을 유지하면서도 "단기적으로는 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경제 둔화의 실질적 증거가 더 명확히 나타날 것"이라고 경고했다.한편, 헤지펀드 매니저들은 관세 관련 뉴스로 시장이 요동치는 상황에서 대규모 투자를 자제하고 있으며, 미국 주식 공매도는 예외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시장 확신도 지표는 3월 말 2000년 이후 하위 10% 수준까지 하락한 후 소폭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크리스 정 2025.04.29 14:32 PDT
미국의 금융기관 중 하나인 렌딩트리에 따르면 점점 더 많은 미국 소비자들이 식료품 구입에 BNPL(Buy Now Pay Later)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BNPL은 일단 구매하고 나중에 지불하는 형태의 핀테크 대출 프로그램입니다. 일반적으로 BNPL은 이자 없이 여러 건의 소액 결제로 나누어 납부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전자제품이나 어느정도 가격대가 있는 제품에 주로 사용하는 결제방식입니다. BNPL이 신용카드의 인기있는 대안이긴 하지만 식료품까지 BNPL로 지불하기 시작했다는 점은 소비자들이 빚에 늪에 허덕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문제는 BNPL의 대출 연체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CNBC의 조사에 따르면 BNPL을 식료품 구매를 위해 사용했다고 대답한 수치는 2024년 14%에서 2025년 25%로 급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응답자의 41%가 연체를 했다고 답했는데 이 역시 전년 대비 34% 증가한 수치입니다. 실제 고금리와 고물가에 시달리는 미국인들이 관세충격까지 겪으면서 소비심리가 빠르게 얼어붙고 있다는 징후가 있습니다. 미국에서 가장 신뢰받는 경기 선행지표 중 하나로 인식되는 컨퍼런스보드의 4월 소비자신뢰지수는 86으로 하락해 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뿐 만이 아닙니다. 미래를 바라보는 미국인들의 시각은 더 어둡습니다. 향후 6개월 간의 기대 지수를 묻는 지표는 한 달 만에 무려 12.5포인트가 하락한 54.4로 2011년 10월 이후 1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컨퍼런스보드 위원회는 "비즈니스 상황과 고용 전망, 그리고 미래 수입이라는 세 가지 기대 요소가 모두 급격히 하락했다."며 이 수치가 사실상 미래 경기 침체의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답했습니다. 정말 충격적인 점은 고용시장에 대한 전망이 충격적일 정도로 어둡다는 점입니다. 위원회에 따르면 향후 6개월 동안 고용이 감소할 것이라 답한 응답자의 비율은 32.1%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9년 4월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내려앉았습니다. 실제 노동통계국이 발표한 JOLTs 자료에 따르면 3월 구인공고는 719만 건으로 월가 예상치보다 빠르게 하락하고 있습니다.
크리스 정 2025.04.29 11:26 PDT
미국 증시가 마감 직전 유입된 '딥 바잉(dip buying)' 매수세에 힘입어 5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이는 2023년 11월 이후 가장 긴 연속 상승으로 평가되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향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기업 실적에 미칠 영향을 가늠하기 위해 다가오는 기업 실적과 주요 경제지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주요 증시 지수의 부침 속에서 보잉과 IBM이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상승을 주도한 반면, 엔비디아는 중국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가 신형 AI 칩 테스트에 나선다는 소식에 하락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메타, 아마존 등 시가총액 상위 기술주들은 이번 주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반면 모건스탠리의 마이클 윌슨 전략가는 달러 약세가 미국 기업 실적을 뒷받침하여 미국 증시가 글로벌 시장 대비 우수한 성과를 낼 것으로 예상했다. 그럼에도 S&P500 지수는 5000~5500 범위에 머물 것으로 예상하며, 더 큰 상승을 위해서는 중국과의 관세 협상 타결, 기업 실적 전망 개선, 통화정책 완화 가능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블룸버그 인텔리전스의 지나 마틴 아담스 수석 주식 전략가는 "블룸버그 이코노믹스가 모델링한 22% 관세율 적용 시 낮은 매출총이익으로 인해 S&P500 기업들의 2025년 순이익은 약 7% 감소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현재 증권사들의 컨센서스 전망인 12% 성장과 현저한 괴리를 보인다.실제 일부 경기 선행 데이터는 미국 경제가 약세로 진입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텍사스 제조업 활동 지표는 크게 악화되었으며,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 임원들은 관세 정책 혼란을 설명하기 위해 "혼돈"과 "광기"라는 극단적 표현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크리스 정 2025.04.28 16:44 PDT
2001년 5월 or 2009년 3월.닷컴버블 붕괴의 서막이자 금융위기의 회복이 시작된 시기입니다. 우리는 지금 과연 어디에 서 있을까요?이번 주 뉴욕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 완화 발언으로 역사적인 수준의 강력한 반등세를 보이며 새로운 국면에 진입했습니다. 시장은 이제 지금이 역사적 저점인지 아니면 또 다른 불확실성의 시작인지에 대한 치열한 논쟁에 휘말리고 있습니다.한편 구글과 테슬라의 상반된 실적 결과는 '매그니피센트 7' 기업들 사이에서도 빅테크 내 옥석 가리기 시대가 본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동시에 우린 이제 관세전쟁 이후 '셀 아메리카' 흐름이 자산시장에서 본격화되면서 달러 약세가 1970년대 닉슨 쇼크를 능가할 잠재적 리스크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번 밀키스레터에서는 이러한 격변의 본질을 분석합니다.
크리스 정 2025.04.28 07:35 PDT
월스트리트는 이번 주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협상 진전에 대한 상반된 신호에도 불구하고 대형 기술주 강세에 힘입어 상승세로 마감했다. S&P500 지수는 5500선을 돌파하며 올해 1월 이후 최장 연속 상승을 기록했다.테슬라는 9.8% 급등했으며 알파벳도 견고한 실적 발표 후 상승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 유예 가능성은 낮으며 중국에 대한 관세는 "실질적인 무언가" 없이는 철회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주가는 잠시 상승세가 둔화됐다.한편 미시건대에 따르면 거관세로 인한 경제적 타격에 대한 우려로 미국 소비자 심리는 역대 최저 수준에 가까운 기록을 보였으며,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치는 1991년 이후 최고치로 상승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인상을 피하기 위해 서두르는 무역 파트너들과의 협상을 처리하기 위한 체계를 마련했다고 전했다.기업 이익률이 사상 최고 수준에 가까운 상황에서 미국 기업들은 높은 관세 비용을 흡수할 여력이 일부 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2004년 이후 S&P 500 기업 매출에서 발생한 이익률 성장의 거의 전부가 호황을 누리는 기술 섹터에서 나왔으며, 이 부문을 제외하면 수익성은 거의 상승하지 않았다.뱅크 오브 아메리카의 마이클 하트넷이 이끄는 전략가팀은 미국 주식과 달러의 지속적인 상승을 위한 조건이 아직 충족되지 않았다고 경고했다. 그들은 달러가 장기적인 평가절하 과정에 있으며 미국 자산에서의 이탈이 더 진행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골드만삭스 그룹의 전략가들은 3월 초 이후 외국인 투자자들이 630억 달러 규모의 미국 주식을 매도했다고 추정했다. 자금 흐름 데이터에 따르면 유럽 투자자들이 매도를 주도한 반면, 다른 지역은 미국 주식을 계속 매수해왔다.경제 전문가들은 관세가 물가를 상승시키고 소비자 지출에 타격을 줌에 따라 무역 전쟁이 올해와 내년 경제 성장에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 최신 블룸버그 이코노미스트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 경제는 2025년에 1.4%, 2026년에 1.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지난달 조사의 2%와 1.9%에서 하향 조정된 수치다. 응답자들은 현재 향후 12개월 내 경기 침체 가능성을 45%로 3월의 30%에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크리스 정 2025.04.26 07:05 PDT
검색 엔진의 대명사이자 AI 인프라의 최전선에 있는 기업, 구글의 모기업인 알파벳(GOOGL)이 강력한 1분기 실적으로 빅테크 회복의 선봉에 섰다. 구글은 검색 광고 사업의 강세를 바탕으로 매출 902억 3000만 달러로 월가의 예상치였던 891억 달러를 상회했고 주당순이익(EPS) 역시 2.81달러로 애널리스트 추정치였던 2.01달러를 가볍게 넘어섰다. 2025년 1분기 실적은 인공지능 기술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서도 여전히 온라인 광고 시장에서의 독보적인 지위를 유지하고 있음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으로 인식됐다. 구글은 검색과 유투브 광고 부문에서의 성과가 이번 실적을 이끌었다. 검색 부문은 1분기에만 전년 대비 9.8%가 증가한 507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고 유투브 매출는 예상에 소폭 미달했지만 89억 달러에 육박했다. 회사의 전체 매출은 전년 대비 12%가 성장하며 월가가 예상했던 10% 성장을 넘어섰다. 특히 순이익은 345억 4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46%나 증가하며 여전히 강력한 마진과 수익성을 지키는 기업임을 증명했다. 회사의 미래 먹거리로 인식되는 구글 클라우드 매출은 122억 6000만 달러로 예상에는 소폭 미달했지만 영업이익이 21억 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42% 증가하며 영업 마진이 17.8%로 대폭 개선됐다.
크리스 정 2025.04.25 15:53 PDT
미국 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우려에도 불구하고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감에 힘입어 상승했다. S&P500 지수는 2% 상승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공세 발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측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미중 무역협상이 진행 중이라고 언급, 시장의 긍정적인 투자심리를 견인했다. 한편 채권 수익률은 향후 고용시장 악화 시 연준이 통화정책 완화 압력을 받을 것이라는 관측에 하락했다.연준 이사 크리스토퍼 월러는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공격적인 관세 수준이 고용시장에 타격을 줄 경우 금리 인하를 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클리블랜드 연준 총재 베스 해먹도 CNBC와의 인터뷰에서 경제 방향에 대한 명확한 증거가 확보된다면 6월에 금리 조정이 가능하다고 언급했다.최근 기업실적 발표에서는 경제전망에 대한 불안감이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다. 아메리칸 항공그룹은 연간 실적전망을 철회했으며 사우스웨스트 항공의 CEO는 항공업계가 이미 침체기에 접어들었다고 언급했다. 펩시코와 P&G도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한편 데이터 측면에서는 3월 미국 공장 설비투자 주문이 소폭 증가에 그쳐 기업들이 관세 및 세금 정책의 불확실성 속에서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했다. 해리스 파이낸셜 그룹의 제이미 콕스는 "기업들이 관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어 내구재 주문 데이터는 큰 의미가 없다"며, "기업들이 실적과 마진을 보호하고 있다는 점은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크리스 정 2025.04.24 16:55 PDT
최근 들쑥날쑥한 주식시장에 마음고생이 심하시죠? 연일 요동치는 차트를 보노라면 불안한 마음을 떨칠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투자에 정답은 없는 법, 이럴 때일수록 원점으로 돌아가 투자의 기본을 되새기는 것이 필요합니다.바로 "내재가치에 집중하라"는 원칙 말이죠.다른 무엇보다 기업 가치에 투자하는 것, 이것이 불확실성을 이겨내는 해법이 될 것입니다. 이런 맥락에서 변동성 장세에 주목해야 할 자산이 있습니다. 바로 "채권(Bond)"인데요. 오늘은 이 채권이라는 금융상품에 대해 깊이 있게 파헤쳐 보겠습니다.
마크 리히텐펠트 2025.04.24 09:36 PDT
뉴욕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및 통화정책 입장 완화 조짐에 힘입어 2일 연속 상승했다. 이는 트럼프의 관세 전쟁 격화 이후 처음으로 연속 상승세로 회복의 가능성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인식됐다.S&P500 지수는 1.7% 상승 마감했다. 장중 한때 3.4%까지 급등했으나, 베센트의 발언 이후 중국 및 주요 무역 파트너들과의 협상 유연성에 대한 시장의 불확실성이 제기되며 상승폭이 축소됐다.미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는 "중국에 대한 일방적 관세 인하는 제안된 바 없다"며 "미중 관계에서 관세 외에도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완전한 무역 재균형에는 2~3년이 소요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JP모건 체이스의 엠마 우에 따르면 기관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으로 도피하는 동안에도 개인 투자자들은 미국 주식을 공격적으로 매수했다. 4월 2일 이후에만 약 300억 달러를 미국 주식과 ETF에 투자한 것으로 집계됐다.한편 최근 시장 변동성 확대로 인해 청산소들이 요구하는 주식 선물 포지션 커버 마진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CME그룹의 CME 클리어링은 4월 동안 E-미니 S&P500 선물에 대한 초기 마진 요구사항을 약 30% 인상했으며, 이 중 하나는 코로나 이후 최대 규모인 하루 12%의 인상을 단행했다. 이는 월스트리트 자금 관리자들에게 추가적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크리스 정 2025.04.23 14:09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