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CES2024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산업 분야는 단연 AI다. 2023년은 AI 챗봇 ‘챗GPT(ChatGPT)’를 비롯한 생성형 AI 제품의 출현과 확산으로 어느 때보다 AI 기술이 주목받은 한해였다. 오픈AI가 개발한 챗GPT는 2022년 11월 30일 공개된 후 두 달 만인 2023년 1월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 1억 명을 돌파했다. 이후 2023년 3월 14일 고성능 대규모 언어 모델(LLM) ‘GPT-4’가 출시되며 AI 기술 및 제품 경쟁이 가속화됐다. 중요한 건 이런 경향성이 2024년에도 계속 이어질 것이란 사실이다. 오픈AI가 지난 11월 자체 개발자 컨퍼런스 ‘데브데이(OpenAI DevDay)’에서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챗GPT의 활성 사용자 수는 여전히 1억 명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포춘 500대 기업 92%가 오픈AI 생성형 AI 제품을 이용 중이다. 뉴욕 기반 투자회사 코투(Coatue)는 11월 공개한 보고서를 통해 “우리는 여전히 AI 시대 초입에 있다(We’re at Day 1 of AI)”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AI 강자 구글은 12월 6일 GPT-4를 뛰어넘는 차세대 AI 모델 ‘제미나이 울트라(Gemini Ultra)’의 벤치마크(benchmark, 성능 지표) 점수를 공개, 다시 한번 치열한 경쟁을 예고한 상태다. 제미나이 울트라는 수학, 물리학, 역사, 법률, 의학, 윤리 등 57개 과목을 조합해 지식, 문제 해결 능력을 테스트하는 ‘MMLU(대규모 다중 작업 언어 이해)’에서 90.0%의 점수를 획득해 최초로 인간 전문가를 능가한 AI 모델로 기록됐다. 2024년의 문을 여는 CES2024에도 이미 이런 트렌드가 반영됐다. CES 주최 기관 CTA는 최초로 혁신상 부문에 AI를 추가했고, 게리 샤피로 CTA 회장 역시 이번 CES2024의 최고 화두로 AI를 꼽았다. AI는 혁신상 부문에 새롭게 추가됐음에도 전체 출품작의 7%를 차지했을 정도로 뜨거운 관심을 모았다.
박원익 2023.12.12 11:44 PDT
2024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규모의 기술 박람회 CES2024는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질 전망이다. CES를 관장하는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는 7일(현지시간) 오전 미디어를 대상으로 CES2024 프리뷰 웨비나를 개최했다. CTA에 따르면 내년 1월 9일~12일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에서 열리는 CES2024년 유레카 파크에 참가하는 1000개 스타트업을 포함, 3500개 이상의 기업들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마존, 삼성전자, LG전자, 퀄컴, 소니, 인텔, 존디어 등 포춘 500대 기업에 속한 글로벌 기업들이 대거 참가한다. 올해 치러진 CES2023 전시장보다 10% 이상 넓은 240만 평방피트에 달하는 전시공간도 조성된다. CES2024는 테크 씬에서 가장 뜨거운 화두인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주제로 한 다양한 컨퍼런스 세션이 마련된다. 또 최근 가장 주목을 받았던 웨스트 홀에는 300여개 자동차, 모빌리티 기업들이 새로운 혁신기술을 선보인다. 존 켈리 부사장 겸 쇼 디렉터는 "최초로 현대차와 기아가 동시에 등장하는 흥미로운 모습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권순우 2023.12.07 15:51 PDT
‘무서울 정도로 빠른(Scary fast)’ 핼러윈(Halloween) 콘셉트로 진행한 애플 스페셜 이벤트의 주인공은 새로운 칩 ‘M3’였다. 애플에 따르면 M3는 3나노미터 공정으로 제조된 업계 최초의 PC용 칩이며 가장 발전된 성능을 자랑한다. 가장 빠른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칩을 선보인 동시에, 칩 공개 주기도 4개월로 단축했다. 칩 성능뿐 아니라 칩 개발 속도 역시 ‘무서울 정도로 빠르다’는 걸 상징적으로 보여준 셈이다.
박원익 2023.10.30 22:04 PDT
올해 IPO(기업공개) 시장 최대어 ARM의 희망 공모가 범위가 공개됐다. 희망 범위 상단인 주당 51달러로 공모가가 결정될 경우 ARM은 최대 48억7000만달러(6조5000억원)의 자금을 모집하게 된다. 기업가치는 520억달러(약 69조4000억원)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영국 반도체 설계기업 ARM 홀딩스는 5일(현지시각) 미국 주식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F-1 수정 문서에서 9550만주를 주당 47~51달러에 판매, 최대 48억7000만달러를 모금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RM은 2021년 전기차 제조업체 리비안 상장 이후 뉴욕 증시에 상장하는 가장 가치 있는 기업이 될 전망이다. 당시 리비안은 공모가를 78달러로 확정, 기업가치 665억달러를 기록한 바 있다. 공모로 조달한 자금 규모는 120억달러에 달했다. 기업가치 520억달러는 매우 큰 액수이지만, 소프트뱅크가 지난달 1000억달러 규모의 비전 펀드를 통해 아직 보유하지 않은 ARM 지분 25%를 인수할 당시 평가액(640억달러)과 비교하면 18.75% 줄어든 수치다모회사 소프트뱅크 입장에서는 ARM이 목표 기업가치를 달성하지 못하더라도 ARM을 엔비디아에 매각하는 것보다는 나은 결과를 얻을 것으로 보인다. ARM 최대 주주인 소프트뱅크는 2020년 400억달러에 ARM을 엔비디아로 매각하는 거래를 체결했다가 반독점 규제 당국의 반대로 2021년 철회한 바 있다. 400억달러와 비교하면 기업가치가 30% 상승했다. 예정대로 공모가 진행, IPO가 마감되면 소프트뱅크는 ARM 보통주 90.6%를 보유하게 된다. ARM의 주요 고객사인 애플, 엔비디아, 알파벳, AMD, 인텔, 삼성전자도 IPO 투자자로 참여한다. 이들 기업에는 총 7억3500만달러 규모의 주식이 배정됐다.
박원익 2023.09.05 14:49 PDT
메타의 새로운 소셜미디어 스레드가 무섭게 진격하고 있습니다. 서비스를 오픈한 지 수일 만에 스레드의 가입자 숫자가 1억 명을 돌파했는데요. 스레드의 초고속 성장이 트위터에 타격을 주고 있습니다. 트위터 트래픽이 급감하는 것. 1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용자들이 두 플랫폼을 병행해 사용하기보다는 스레드를 이용하기 위해 트위터를 떠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실제 통계가 이를 반영합니다. 트래픽 통계 사이트 시밀러웹(SimilarWeb)에 따르면, 스레드를 완전히 사용할 수 있게 된 첫 이틀 동안 트위터 웹사이트 트래픽은 전주 같은 이틀에 비해 5% 감소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11% 감소했다고 트위터는 밝혔는데요. 주커버그는 스레드에 올린 글에서 "1억 명의 가입자가 대부분 자연적인 수요에 의한 것"이라며 "아직 프로모션을 진행하지도 않았다"고 자신감을 내비쳤습니다. 👉 같은 듯 다른 스레드와 트위터... 진짜 승자는? 메타는 '카피캣'으로 성장한 회사입니다. 경쟁 기업의 서비스를 재빠르게 차용, 가입자를 흡수했습니다. 스냅과 틱톡을 차용 릴스 등을 만들었죠. 스레드도 트위터를 겨냥해 만든 서비스입니다. 두 플랫폼 모두 짧은 텍스트나 사진, 동영상을 게시해 공유하는데요. 메타는 스레드를 빠르게 안착시키기 위해 새로 만들기 보다 가입자 20억명을 보유한 '인스타그램'을 활용했습니다. 쉽고 빠르게 가입할 수 있고 스레드 계정을 삭제하면 인스타그램 계정도 삭제해야 하는 점을 노렸습니다. 트위터도 반격에 나섰는데요. 스레드의 초고속 성장에 린다 야카리노 트위터 CEO는 "여러분을 실망시키고 싶지는 않지만... 트위터는 정말 대단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지난주에는 2월 이후 최대 사용량을 기록했습니다"라는 트윗을 날렸습니다. 그러면서 "트위터는 하나뿐이며 누구나 이 사실을 알고 있다"라고 언급했습니다. 트위터와 스레드의 대결은 트위터를 소유한 일론 머스크와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와의 대결로도 이어지고 있는데요. 두 빅샷은 케이지 매치에 잠정 합의하면서 갈등 혹은 쇼맨쉽으로 불리는 이벤트에 불을 지피고 있습니다. 두 억만장자는 진짜 링에서 맞붙게 될까요. 막 불붙은 스레드와 트위터의 경쟁은 누구의 승리로 막을 내릴까요. 테크 씬의 경쟁이 흥미롭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권순우 2023.07.11 16:05 PDT
카이란 쿼지(Kairan Quazi) 스페이스X 엔지니어는 링크드인 게시물을 통해 “스타링크(Starlink, 위성 기반 인터넷 제공 서비스) 엔지니어링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하게 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카이란 쿼지의 스페이스X 합류는 실리콘밸리는 물론, 미국 기술업계에서 큰 화제가 됐다. 그의 나이가 14세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동년배 친구들이 중학교 다닐 시기에 대학을 졸업하는 것은 물론, 굴지의 기술 기업에 당당히 합류했다. 시애틀 타임스에 따르면 이번 달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 대학교를 졸업할 예정인 그는 ‘최연소 졸업’ 타이틀을 차지할 전망이다. 11살에 컴퓨터과학과 공학을 공부하기 위해 이 대학으로 편입한 지 3년 만의 일이다.
박원익 2023.06.12 14:34 PDT
고든 무어의 시작은 그리 대단하지 않았습니다.무어가 학교를 마친 뒤 처음으로 입사 원서를 낸 곳은 다우 케미칼이었습니다. 입사 과정에서 다우 케미칼은 무어에게 심리 상담을 받게 했어요. 이 심리학자는 무어가 능력이 떨어지지는 않지만 관리자는 될 수 없다고 결론을 내립니다. 무어는 할 수 없이 다른 일자리를 알아봐야 했어요. 선생님이 되고 싶은 생각도 있었지만 교사 자리 또한 얻지 못했죠.무어는 미국 최고의 공대인 칼텍(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지만 사회 초년 시절이 순탄하지만은 않았어요. 하지만 반도체 분야에서 12년 동안 일을 하면서 통찰력을 쌓았고 ‘무어의 법칙’을 만듭니다. 마이크로칩의 밀도가 24개월마다 2배로 늘어난다는 바로 그 법칙 말이에요. 밀도가 늘어난다는 건 그만큼 작아지고 빨라진다는 얘기입니다. 이후 그는 최고의 반도체 기업 인텔을 창업하기에 이르죠.적극적이고 전투적인 창업자와는 거리가 먼 무어는 나중에 자신을 ‘어쩌다 창업 (accidental entrepreneur)’한 사람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인텔을 창업한 뒤 8년 동안 CEO로 일했으며 이사회 의장으로 18년을 재직한 사람이라는 사실이 무색하게 말이죠.그런 무어가 24일 하와이 자택에서 94세를 일기로 별세했습니다. 그는 어떻게 무어의 법칙을 만들고 인텔을 창업하게 되었을까요?
김선우 2023.03.26 20:00 PDT
지난 3월 14일(현지시간) 오후 8시께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 주도인 오스틴 다운타운에서 북동쪽으로 45분을 달려 79번 국도에 들어서자 오른편으로 환한 불빛이 한눈에 들어왔다. 수십여 대의 크레인이 하늘 높이 우뚝 솟은 건설 현장의 모습이 마치 요새와 같았다. 현장 입구에 다다르자 ‘Samsung Semiconductor taylor site’라는 입간판이 보였다. 삼성전자의 새로운 미국 거점이 될 테일러 파운드리 건설 현장이다. 길을 따라 공장 입구로 향하자 대낮처럼 환한 조명이 제법 건물의 모습을 갖춘 테일러 팹 1이라는 두 개 동을 밝게 비추고 있었다. 멀리서 쇠들이 부딪치는 소리도 들려왔다. 늦은 시간임에도 안전모와 형광색 조끼를 착용한 채 카트를 타고 다니는 인부들의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직원들이 사용하는 주차장에는 세워놓은 차들로 빼곡했다. 밤부터 새벽까지 이어지는 야간작업 담당자들의 차였다. 밤에도 트럭들이 분주하게 현장을 움직였다. 미국에서는 보기드문 '야간 작업'의 연속. 말그대로 '속도전'이었다. 왜 삼성전자는 '테일러 메이드(Made in Taylor)' K-칩 생산을 위해 속도전을 벌이는 것일까?
권순우 2023.03.20 01:19 PDT
2023년들어 기술 기업들이 성장세를 멈췄다.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등 분야나 기업 규모를 막론하고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치 차 봉쇄 시기에는 정부의 금리 인하 정책으로 시중에 풍부하게 돈이 풀렸고, 사람들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이들 기술기업들의 서비스가 크게 각광받았다. 하지만 코로나19 봉쇄가 끝난 후 상황은 달라졌다. 시중에 돈이 마르고 사람들이 나가기 시작하면서 PC 수요는 급감했다. 스마트폰 시장은 이제 성장이 정체된, ‘성숙한’ 시장으로 분류된다. 각종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도 마찬가지다. 이에 반도체 제조업체들도 덩달아 타격을 입고 있다. 여기에 더해 정부의 반독점 규제, 스톡옵션 등으로 희석된 주식가치 등도 기술주들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평가다. 이에 기술 기업의 실적은 성장에서 나오지 않는다는 평가가 주류다. 해고 등 비용 통제와 주식환매 등으로 주식 가치 효율성을 높이는 기업이 살아남을 것이란 전언이다.
Sejin Kim 2023.03.08 00:16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