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컴퓨터로 문서를 작성할 때 많이 쓰이는 도구로 단연 마이크로소프트(MS)의 워드(word)가 꼽힙니다. 1983년 출시 이래 가장 보편적인 글로벌 문서작성 도구가 됐죠. 매달 14억 대의 윈도우 장치가 워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포춘 500대 기업 중 90% 이상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집니다. 지난 25일(현지시각) BBC는 이 워드가 인간의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미친 영향을 보도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워드는 인간의 글쓰기 형식을 표준화했습니다. 맞춤법 검사기, 문법 기능, 자동수정, 자동완성, 제안 등 기능이 대표적이죠. 일례로 현재 금융 분야 보고서는 정해진 패턴, 메모 방식이 있습니다. 글로리아 마크 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캠퍼스 정보학 교수는 “워드로 문서가 표준화되면서 사람들은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위치를 알게 돼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게 됐다”면서 “워드 템플릿은 사람들이 의사소통에서 동일한 형식을 사용하도록 이끌었고 결국 이는 표준으로 자리잡았다”고 평가했습니다. 워드는 영어를 글로벌 비즈니스 언어로 확립하는 데도 일조했습니다. 언어학습 플랫폼 바벨의 노엘 울프 언어전문가는 "비즈니스가 점점 더 글로벌화되고 전문 및 기술 분야에서 워드가 널리 사용되면서 영어 용어 및 구조가 차용됐다”면서 “이는 언어적 동질화 추세에 기여하게 됐다"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워드가 지역별 방언을 고려하지 않으면서 미국식 영어의 보급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울프 언어전문가는 “이러한 도구는 일관성과 정확성을 요구했고 이 통일성은 글쓰기의 다양성을 희생하면서 발생했다”고 평했죠. 👉 AI, 인간 글쓰기 창의성 ‘기여 vs 저해’MS 워드에 이어 AI는 어떨까요? AI로 인해 이 같은 글쓰기, 커뮤니케이션의 표준화가 더 가속화할까요? 아니면 더 창의적인 방식이 나오게 될까요? 단순 작업을 AI가 처리하면 인간이 창의적으로 글을 쓸 시간이 더 많아진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일례로 워드의 기능으로 사용자가 올바른 철자를 찾는 데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하는 대신 단어 선택과 의사소통 전략에 집중하게 된 것처럼, AI가 초안까지 작성해주면 인간은 더 창의적인 글쓰기가 가능하다는 주장이죠. 로봇 자동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유아이패스(UiPath)의 에드 찰리스(Ed Challis) AI 전략총괄은 “텍스트 작성 시간을 편집으로 줄일 수 있다"면서 “이는 콘텐츠 제작 및 커뮤니케이션의 모든 영역에 걸쳐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죠. 다만 대형언어모델(LLM)이 이미 워드로 균질화된 콘텐츠로 훈련돼 초안을 내놓는다면 인간의 창의성이 더 제약될 가능성도 나옵니다. 일단 AI가 생성하거나 이를 활용한 콘텐츠는 늘어날 전망입니다. 마크 주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AI로 생성되는 SNS 콘텐츠가 2022년 15%에서 내년 말 2배이상 늘어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Sejin Kim 2023.10.29 07:13 PDT
미국 증시가 2018년 이후 최악의 10월을 보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가 25일 조정 영역(correction territory)에 들어간 데 이어 27일(현지시각) S&P 500 지수까지 조정 영역에 포함된 것이다. 미국 투자전문매체 배런스에 따르면 10월에 두 지수 모두 조정 영역에 들어간 건 2018년 이후 5년 만이다. 월스트리트에서는 지수가 최근 고점 대비 10% 이상 하락할 경우 ‘기술적 조정’으로 분류한다. 27일 뉴욕 증시에서 S&P 500 지수는 0.48% 하락한 4117.37로 마감했다. 최근 고점인 4588.96보다 10% 이상 떨어졌다. 나스닥 지수는 0.38% 반등, 1만2643.01을 기록했다. 다우존스 지수를 포함한 3대 지수 모두 주간 기준 2% 넘게 떨어진 한주였다. S&P 500 지수와 다우존스 지수는 3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이는 2020년 3월 이후 최악의 하락세다.
박원익 2023.10.27 20:38 PDT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 앤트로픽이 1000만달러(약 135억원) 규모의 ‘AI 안전 기금(AI Safety Fund)’을 조성했다. 펀드 자금을 활용해 AI 안전 분야 연구를 촉진한다는 목표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 앤트로픽은 25일(현지시각) “1000만달러 규모의 AI 안전 기금을 신설했다”며 “책임감 있는 AI에 대한 논의를 확대하기 위해 업계 전문 지식을 더 많은 청중과 공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 앤트로픽은 지난 7월 AI 안전 문제 해결을 위한 조직인 ‘프론티어 모델 포럼(Frontier Model Forum)’을 발족했다.
박원익 2023.10.26 14:35 PDT
안녕하세요, 생성형 인공지능(Gernerative AI) 서비스를 직접 체험하고 리뷰하는 [AI레시피]입니다.오늘의 목표는 엑셀 파일을 발표용 파워포인트(PPT) 슬라이드로 만들어 보는 것입니다. 앞서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빅테크 기업들이 이와 비슷한 새로운 기능을 선보인 바 있죠. AI 챗봇 형태로 작동하는 대화형 AI 시스템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에 "딸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한 슬라이드를 만들어줘. 내 딸은 축구를 좋아하고, 고등학생이야"와 같은 프롬프트(prompt, 답을 얻기 위한 일종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즉시 슬라이드가 자동 생성되는 식입니다. 구글 역시 듀엣AI로 비슷한 기능 데모를 발표했습니다. 더밀크는 3주년 기념으로 개최한 오프라인 행사 '티타임'에서 구독자분들께 3주년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이 발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여러 생성형 AI 서비스를 시도해 봤습니다. 어떻게 됐을까요?
Sejin Kim 2023.10.22 22:00 PDT
구글이 인공지능(AI) 기반 검색 기능(Search Generative Experience, SGE)에 새로운 기능을 도입했다. 사용자의 프롬프트(명령어)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도입한 것. 사용자가 길이와 톤을 모두 변경하기 전에 콘텐츠 초안을 작성할 수 있도록 했다.🔑 간단 요약 SGE는 구글 검색 엔진 내에서 직접 활성화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유형(사진, 그림 등)을 지정할 수 있다.모든 이미지에는 AI가 생성한 것으로 식별하는 메타데이터와 함께 신스(Synth)ID라는 구글의 보이지 않는 AI 워터마크가 포함된다. SGE에는 글쓰기 도우미 기능도 포함됐다. 이 기능으로 사용자가 작성한 초안의 길이와 톤을 더 진지하게 혹은 가볍게 조정할 수 있다. 구글은 더버지에 해당 기능에는 다양한 대형언어모델(LLM)에 기반한다고 밝혔다. 부적절한 콘텐츠에 대한 우려를 인식한 듯 구글은 18세 이상 사용자에게만 이미지 생성 기능을 제공하기로 했다. 유해하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이미지를 방지하기 위해 엄격한 필터링 정책을 적용한다는 방침이다.현재 SGE는 미국, 인도, 일본 등지의 일부 사용자에게 영어, 힌디어, 일본어로만 제공된다. 이밖에 13세 이상, 개인 계정 등 기준을 뒀다. 🔌 더밀크의 시각검색 엔진 경험은 지난 20년 동안 크게 변하지 않았다. 하지만 AI로 ‘키워드로 검색하고 텍스트로 표시된 결과’라는 검색 엔진 활용 방식이 크게 변하고 있다. 이제 검색 엔진은 ‘이미지 작성’과 ‘글 초안 작성’으로 나아간다. 특히 글 초안 자체를 작성해 주거나 초안을 요약, 편집해 주는 기능은 AI가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분야기도 하다. 이메일, 이력서, 번역문, 광고문구 등이 대표적이다. 👉 더 알아보기 구글은 SGE에 이메진AI(Imagen AI)를 통합하는 방식으로 이미지 작성 기능을 구현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가 앞서 자사 검색엔진 빙 챗에 오픈AI의 달리3를 통합한 것과 유사하다.
Sejin Kim 2023.10.17 18:14 PDT
애플이 고성능 대화형 AI 서비스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관련 예산을 확대 투입하며 대규모 언어모델(LLM) 기술 면에서 앞서 나가고 있는 구글, 마이크로소프트를 추격하는 양상이다. 6일(현지시각) 디인포메이션에 따르면 애플은 최근 대화형 AI 구축을 위한 내부 예산을 하루에 수백만 달러로 확대하고 있다. 오픈AI가 선보인 AI 챗봇 ‘챗GPT(ChatGTP)’, 그리고 음성인식(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 모델 ‘위스퍼(Whisper)’ 같은 AI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다.
박원익 2023.10.15 16:42 PDT
생성 AI(Generative AI) 기술에 대한 기대감 못지않게 이 기술이 초래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경계심도 커지고 있다. 일반 대중이 피부로 체감하는 것 중 하나는 생성 AI가 화이트칼라 직업군을 대체할 수 있다는 우려다. 직업을 구하기 위해 어떤 직무 능력을 갖춰야 할지 예상하기 어려워졌고, 미래 세대를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지도 막막하다. 더 근본적인 문제는 인간의 수준을 뛰어넘는 ‘범용인공지능(AGI)’의 출현에 대한 두려움이다. ‘AI 대부(Godfather)’로 불리는 석학 제프리 힌튼 토론토대 교수가 지적한 것처럼 생성 AI 기술의 악용 가능성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편 업계 내부에서는 생성 AI 산업 주도권 및 더 많은 기회 확보를 위한 경쟁이 한창이다. 특히 오픈소스(open-source) 기반 공개형 AI 모델과 폐쇄형(closed-source) 생성 AI 모델 진영 간의 패권 다툼이 뜨거워지고 있다.
박원익 2023.10.15 16:41 PDT
냄새(후각)는 디지털 세계에서는 ‘미지의 영역’이었다. 사람의 감정은 향기의 미묘한 변화에 따라 오르락내리락한다. 하지만 생물학에서 후각은 가장 복잡한 영역으로 그 구조에 대해 밝혀진 부분이 많지 않다. 인터넷에서 '냄새' '향기'가 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지금까지는) 실현되기 어려웠다. '세상의 모든 정보를 디지털로 옮겨가 검색하게 한다'는 사명과 비전이 있는 구글이 '냄새의 디지털화' 도전에 나섰다.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서다. 주인공은 구글리서치(Google Research)에서 지난 1월 분사한 오즈모(OSMO)다. 신경생물학자이자 알렉산더 윌츠코(Alexander Wiltschko)가 이끄는 오즈모 팀은 6000만달러의 자금을 구글벤처스 등으로 부터 투자유치한 후 AI를 활용해 다양한 분자의 향기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냄새 분자를 설계하는 구조를 시도하고 있다.
Sejin Kim 2023.10.15 16:38 PDT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규모의 헬스케어 박람회 'HLTH2023'. 지난 9일(현지시간) 행사장 한쪽에 마련된 무대에서는 '챗GPT vs 의료 전문가'를 주제로 한 패널 토론이 이어졌다. 패널로는 의사 출신인 파티마 파룩 세일스포스 CHO(Chief Health Officer), 소냐 마크니 메이요클리닉 메디컬 디렉터, 브리검 하이드 아트로포스 헬스(Atropos Health) 창업자 겸 CEO 등이 참석했다. 생성AI가 의료 환경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챗GPT와 같은 툴이 의사를 대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예민한 문제들이 가감없이 다뤄졌다. 미국 최고 병원 중 하나로 손꼽히는 메이요클리닉의 마크니 디렉터는 "AI 등장과 함께 의료 분야에서 새로운 물결을 경험하고 있다"고 말했다. 메이요클리닉은 지난 6월부터 구글 클라우드와 손잡고 생성AI를 활용한 맞춤형 챗봇 시범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그는" 의료진은 물론 병원 운영 관계자들도 AI의 등장에 흥분하고 있다"면서 "여기엔 투명이 필요하고, 책임감도 뒤따른다. 협력한다면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HLTH2023은 지난 8일부터 11일까지 열린 헬스케어 분야의 대표적인 행사다. HLTH는 'Health'의 약자로, 건강과 의료 분야에 종사하는 모든 이해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최신 혁신 기술과 트렌드를 논의하고 교류하는 기회를 제공한다.HLTH2023에는 전 세계 150개 이상의 국가에서 온 약 3만 명이 참가했다. 100여 개의 세션과 워크숍, 그리고 1000개 이상의 전시 부스를 마련, 최신 의료 기술과 솔루션이 소개됐다. 또 다양한 전문가 네트워킹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는 자리도 마련됐다.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가했지만, 올해 화두는 단연 AI로 집중됐다. 구글, 세일즈포스와 같은 테크 기업들은 물론, 스타트업에 이르기까지 AI를 헬스케어 분야에 접목하려는 시도가 돋보였다. 더밀크가 'HLTH2023' 현장에서 확인한 트렌드와 시사점을 정리했다.
권순우 2023.10.14 07:35 PDT
안녕하세요 구독자 여러분, 오픈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먼저 더밀크 주요 기사 소개해드려요.[더밀크 주요 기사 보러가기]📻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CEO가 주 3.5일제∙100세 시대를 제시했습니다.💾 일론 머스크는 슈퍼컴 ‘도조’용 벙커를 짓고 있죠.🧜♂️ 대화형 AI 챗봇 가입자들의 평균 이용 시간이 늘고 있습니다.🛝 구글 픽셀8폰은 생성AI를 탑재해 업그레이드됐습니다.학창 시절 저는 인기가 많았습니다. 아니, 정확히 말하면 제 핸드폰이 인기가 많았죠. 그때는 피처폰 시대였습니다. 핸드폰을 살 때 폴더폰, 터치폰, 슬라이드라는 옵션이 존재했죠. 당시 청소년 요금제인 팅(SKT), 비기(KT), 카이홀맨(LGT)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로 인터넷을 서핑하는 건 언감생심이었습니다. 문자와 통화 사용량을 의미하던 '알'을 주고 받는게 주류였죠. 그때 당시 저는 부모님 몰래 고가의 무선인터넷 무제한 요금제를 썼습니다. 핸드폰으로 인터넷 포털인 ‘네이트온(Nateon)’를 사용할 수 있는 특권(?)이 생긴 셈입니다. 조악한 사용자환경(UI)이었지만 당시로서는 핸드폰으로 인터넷을 마음껏 한다는 것 자체가 혁신이었죠. 쉬는 시간만 되면 모두가 제 폰을 찾았습니다. 그리고 그 달콤했던 권력은 경쟁 요금제와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빠르게 끝났습니다. 특권을 제대로 누리기 전에 끝난 느낌이었습니다. 그런데 Z세대, 알파세대(소위 잘파세대)에게 스마트폰도 마찬가지일 듯합니다. 2009년 한국에 애플의 아이폰이 나온 직후 우리는 약 15년 동안 스마트폰을 사용해 왔습니다. 그리고 이 판도가 인공지능(AI)을 만나 바뀔 조짐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Sejin Kim 2023.10.13 05:37 PDT
테슬라가 텍사스 오스틴 본사에서 도조(Dojo)로 알려진 AI 슈퍼컴퓨터를 갖춘 벙커형 구조물을 짓고 있다고 합니다. 지난 2021년 9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테슬라 AI데이 행사에서 "테슬라는 전기차 회사가 아니다. 인공지능(AI) 설계 및 훈련에 관한 세계 최고 수준의 소프트웨어(SW), 하드웨어(HW) 기술을 탐구하는 기업이 될 것"이라고 선언한 바 있는데요. 머스크 CEO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AI 프로세서를 공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완전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슈퍼컴퓨터 '도조(Dojo)' 개발 계획을 밝혔습니다. 당시만 해도 사람들의 관심은 테슬라가 내놓는 전기차에 온통 쏠려있었는데요. 하지만 2년이 지난 지금 테슬라의 야심 찬 계획이 서서히 윤곽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디인포메이션에 따르면 머스크 CEO는 도조를 이용해 궁극적으로 아마존웹서비스(AWS)처럼 다른 회사들에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팔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해왔는데요. 테슬라는 지난 7월 도조 훈련용 컴퓨터 생산을 시작했고, 지난달부터 가동을 시작했습니다. 도조의 가동이 시작되자 머스크의 비전을 알아본 미국의 투자은행 모건스탠리가 빠르게 움직였는데요. 모건스탠리는 테슬라의 목표주가를 주당 250달러에서 400달러로 무려 60% 상향하고 투자의견을 '비중 확대'로 바꾼 바 있습니다. 모건스탠리는 도조가 테슬라 평가가치에 무려 5000억 달러(약 664조 원)를 더할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테슬라 주가는 이날 10.09%나 급등한 바 있습니다. 👉AWS처럼 클라우드 팔 것, 도조의 가능성 무궁무진테슬라는 현재 가장 강력한 것으로 알려진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 기반 슈퍼컴퓨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7360개의 엔비디아 칩이 탑재돼 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엔비디아칩은 워낙 비싼데다 충분한 물량을 구매하기 어렵고 테슬라가 구현하고자 하는 특정 기술에 최적화돼 있지 않습니다. 이에 테슬라는 직접 설계한 칩(D1)을 사용해 도조라는 슈퍼컴퓨터를 만들기로 했는데요. D1은 50만개 노드를 동시에 처리하며 초당 36TB(테라바이트)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고 합니다. 대만의 한 언론은 지난달 테슬라가 D1 칩을 제조하는 대만 반도체 제조사에 주문량을 두 배로 늘렸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이를 통해 테슬라는 엔비디아에 대한 의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머스크 CEO는 7월 투자자들을 상대로 2024년까지 도조 개발에 100억달러를 웃도는 자금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김기림 2023.10.11 19:10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