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가 '죽음과의 전쟁'을 선포한 이유 : 롱제비티 혁명
2021년,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조스는 한 스타트업에 30억 달러(약 4조 2,600억원) 를 투자했다. 회사 이름은 알토스 랩스(Altos Labs). 이들의 목표는 단 하나, 세포의 시간을 되돌리는 것이었다. 같은 해 오픈AI CEO 샘 알트먼은 레트로 바이오사이언스(Retro Biosciences)에 거액을 투자하며 “인간 수명을 10년 연장하겠다“고 선언했다.페이팔 공동창업자 피터 틸은 이미 수년 전부터 메투셀라 재단(Methuselah Foundation)을 통해 노화 연구를 지원해왔고, 오라클 창업자 래리 엘리슨은 자신의 재산 중 5억 달러(약 28억원) 이상을 노화 연구에 쏟아부었다.그리고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돈 다이(Don't Die)' 프로젝트로 유명해진 브라이언 존슨의 블루프린트 프로젝트가 있다. 이 전직 기업가는 매년 200만 달러 이상을 자신의 몸에 투자하며 인간이 생물학적 한계를 어디까지 밀어붙일 수 있는지 실험하고 있다. 그는 30여 명의 의사와 전문가 팀을 고용해 하루 100개 이상의 알약을 복용하고, 수십 가지 의료 시술을 받으며, 자신의 모든 신체 데이터를 공개한다.극단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그의 블루프린트 프로젝트는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의 팔로워를 모았고, 롱제비티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왜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기업가들이 갑자기 노화와의 전쟁에 뛰어들고 있는 걸까? 그들은 무엇을 보고 있는 걸까?답은 간단하다. 그들은 이것이 단순히 개인의 수명 연장이 아니라, 인류 문명의 다음 단계로 가는 열쇠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실리콘밸리가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세상을 바꿨듯이, 이제 그들은 인간의 가장 근본적인 조건인 ‘시간‘을 재설계하려 한다.나는 이것이 단순한 부자들의 허영이 아니라고 믿는다.이것은 우리 모두에게 영향을 미칠 거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이다. 우리는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자신의 진화를 스스로 설계할 수 있는 세대가 되고 있다. 노화를 운명이 아닌 치료 가능한 질병으로 바라보는 이 거대한 관점의 전환은, 단순히 더 오래 사는 것이 아니라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건강하게 살 수 있다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