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6 전체기사 비디오 역사 및 개요 필드 가이드 CES2026 with TheMiilk
전체기사

전체기사
연도별 기사보기

CES 관련 기사가 234개가 있습니다.

팬데믹이 바꾼 소비 트렌드
브레드 스미스 "기술 산업계가 힘모아 공급망 보호해야"

CYBERSECURITY CES2021 THREAT INTELLIGENCE

브레드 스미스 "기술 산업계가 힘모아 공급망 보호해야"

브레드 스미스 마이크로소프트 사장이 지난해 말 미국 주요 공공기관과 기업에 발생한 대규모 사이버 공격 등을 방지 하기 위해 기술 업계 협력을 촉구했다. 스미스 사장은 CES2021에 키노트 연설에서 네트워크관리솔루션 솔라윈즈 해킹 사고를 언급하며 무차별 글로벌 사이버 공격 대응 필요성을 강조했다. 스미스 사장은 "공격자는 세계 네트워크에 1만8000개 악성코드 패키지를 배포했다. 세상이 감당할 수 없는 위협이다"고 말했다. 한 국가가 단순히 다른 국가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감시하거나 해킹하려는 시도가 아니었다는 것이다. 그는 기술공급망에 대한 글로벌 무차별 공격이라고 강조했다. 솔라윈즈 오리온 솔루션을 쓰는 고객 1만8000곳이 취약점에 노출됐다. 공격자는 솔라윈즈 오리온 취약점을 악용해 미국 법무부와 마이크로소프트, 파이어아이 등에 침투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해 말 약 40곳 이상의 기업과 기관이 침해를 입었다고 밝혔다. 뉴욕타임즈 등 미국 언론은 솔라윈즈를 이용한 해킹 그룹 배후로 러시아를 지목한다. 공격자는 침입한 기업 네트워크에서 소프트웨어 소스코드 등을 빼돌린 것으로 알려졌다. 스미스 사장은 "기술 기업이 힘을 모아 각국 정부에 이와 같은 공급망 파괴 시도를 추구해서는 안된다는 목소리를 전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솔라윈즈와 악성코드 확산 방식을 보면 사이버공격에 대한 위협 인텔리전스 데이터가 공유되지 않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바이든 정부 "더 나은 재건 경제 만든다"
사티아 나델라 '디지털 테크 플랫폼' 경제와 사회 연결
GM, EV로 물류 바꾸다... 플라잉카도 깜짝 공개
"감성 지능 갖췄다"...메르세데스-벤츠, 차세대 '하이퍼스크린' 공개
'상소문'폰 경쟁 시작됐다... LG전자 vs TCL
CES에서 본 주유소의 미래

CES2021 GSCALTAX UAM

CES에서 본 주유소의 미래

이번 CES는 전기차(EV)가 메인 주제로 부상했다. ‘EVS(EV+CES)’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비중이 높다. 12일 메인 오프닝 기조연설에 GM의 메리 바라(Mary Barra) CEO가 나서 향후 5년 동안 GM이 공개할 전기차와 전기 트럭 전략에 대해 소개한다. 2020년 테슬라가 연간 50만대에 육박하는 전기차를 판매했다. 여기에 미국과 중국 EV 스타트업이 올해 다양한 차량을 공개한다. 자동차 시장의 대 변혁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때문에 내연 자동차와 연결된 리테일 비즈니스인 주유소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변화의 중심에 선 주유소 서울에서도 몇 년 사이 폐업하는 주유소가 증가했다. 주유소가 있던 자리에 건물이 들어서는 것을 자주 목격했다. 주유소를 하는 것보다 빌딩을 지어 임대를 하는 것이 수익이 더 나기 때문이다. 소비 패턴의 변화도 주유소 비즈니스 변화를 앞당긴다. 사람들은 전기차를 구매하기 시작했고, 차량을 소유하는 대신 공유한다. 연료 소매 비즈니스는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에서도 생존을 고민해야 하는 상황이다.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주유소에 미래가 있는가?(Is There a Future for Service Stations?)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BCG는 새로운 이동 수단과 인공지능(AI), 로봇, 사물인터넷(IoT) 등 새로운 디지털 기술이 연료 소매(주유소) 시대 종말을 앞당기고 있다고 분석했다. BCG는 주유소 비즈니스 모델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한다. 제품과 서비스, 네트워크, 비즈니스 모델을 모두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BCG는 연료 소매업 기업이 지금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면 2035년까지 수익을 내지 못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CES2021 Day1 리뷰] IRL '메타 디지털' 원년 선포
삼성 미래 비전 'AI로봇 & ESG' 꺼냈다
첨단 '홈코노미' 경연장된 CES2021
삼성전자 VS LG전자 '홈코노미' 중심은 '나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