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격차 어떻게 좁힐까? ... GPU 확보 못한 대기업은 어떻게 해야하나
[나의 AI 실행계획(액션플랜)] 한국의 대기업에
삼성·현대차·네이버, AI 팩토리·스마트 모빌리티·클라우드 전면전
기업, 정부의 GPU 활용 전략? ... 경쟁력 쌓고, 생태계 개방 '핵심'
GPU 호황, 한국 1위 메모리 산업도 덩달아 긍정적 파급효과
GPU확보, 대기업의 생존 요건... "슈퍼 인재 확보가 관건"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한국에 오는 2030년까지 그래픽처리장치(GPU) 26만장 규모의 우선 공급을 약속하면서 AI 3강을 노리는 한국 기업들의 AI 전환 전략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는 영국이 확보 예정인 12만장의 두 배를 넘는 규모로, 미국과 중국을 제외하면 사실상 세계 3위 수준의 AI 컴퓨팅 인프라를 갖추게 되는 셈이다.
이번 계약에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그룹, 네이버클라우드 등 민간 기업과 정부가 함께 참여했다. 정부는 약 5만 대의 GPU를 확보해 ‘소버린 AI 인프라’(국가 AI 클라우드 센터)를 구축하고, 기업들은 각각 5만 대 수준의 GPU를 AI 팩토리, 스마트 제조, 모빌리티 자율주행, 산업 AI 인프라 확장에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GPU 확보를 두고 "김대중 정부 시절 초고속 인터넷 망 구축에 비견되는 AI 시대의 인프라 투자"라는 평가가 나온다.
AI 시대의 경쟁력은 더 이상 공장 규모나 설비 개수가 아니다. 데이터를 얼마나 빠르게 학습시키고, 모델을 얼마나 정밀하게 돌릴 수 있느냐, 즉 '계산력(Compute Power)'이 산업의 엔진이 된 시대가 열렸다.
이제 한국 기업들에게 중요한 질문은 하나다.